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eloton Interactive
- 삼성전자
- 아모레퍼시픽
- 팰로톤
- Peloton
- 주식거래 방법
- 손실 최소화
- Airbnb
- ChatGPT
- 펠로톤
- 관련주
- 스마트홈
- 상승 패턴
- 코스피
- 공유서비스
- 한샘
- Sharing Economy
- LG생활건강
- 네이버
- 하이퍼 클로바 X
- 주식
- 챗GPT
- LG생건
- 카카오
- 공유경제
- 머큐리
- 화장품
- PTON
- 매터 1.2
- 엔비디아
목록국내주식 (23)
ICT 기술과 주식투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UTUi/btsroITuv6w/tV9I8MukIcJCg7Yi89u9v1/img.jpg)
지난 월요일(14일) 장중에 아래와 같이 이번주는 코스피가 조정을 받을 것 같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14일도 그렇고, 어제인 16일도 그렇고 큰 폭의 조정을 보였습니다. 오늘(17일)도 오전 장중에는 KOSPI가 무려 40여 포인트 하랙해 2,482까지 떨어지더군요. 다행히 지금은 30포인트 정도 반등한 상태입니다. https://weshare.tistory.com/manage/statistics/entry/46 Tistory 좀 아는 블로거들의 유용한 이야기 www.tistory.com 위 차트는 오후 1시 경의 코스피 차트인데요, 40여 포인트 빠졌다가 30포인트 정도 회복한 모습입니다. 오후에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양봉은 그리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이건 코스피 주봉입니다. 지난 글에서 말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IO54M/btsq5erdELN/Pla7opF8q3GM9MyzxRcYc0/img.jpg)
코로나로 인한 유동성 증가로 인해 급등하던 주식시장은 2021년 말부터 2022년 11월까지 꾸준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이후 위 코스피 주봉 차트처럼 등락을 반복하면서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차트를 보면 폭이 좁은 수렴형이구요 여기서 방향성이 결정될 것 같습니다. 윗쪽으로는 여러 개의 추세선을 그어볼 수 있는데요, 최근의 고점은 그 상단을 터치하지 못하는 느낌입니다. 반대로 아래쪽으로는 빨간색으로 표시된 20주 이평의 지지를 받는 모양새입니다. 그런데, 왠지 힘이 부쳐 보입니다. 마치 쌍봉을 만들고 떨어질 것 같은 모습입니다. 만약 여기서 떨어진다면 2450 부근까지도 생각해야 할 것 같습니다. 문제는 그 이후 반등을 제대로 할 수 있느냐? 아니면 어깨를 만들면서 재차 하락하느냐인데, 저는 하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owLE8/btsqZzpUNpo/KbVZKsE5rCCmWyviZnLGHk/img.jpg)
주식 전문가라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삼성전자 이야기를 합니다. 이제 조정 받을 만큼 받았고 반도체 가격도 상승할 거고 인공지능 때문에 새로운 메모리 수요도 생길 거고 좋은 점만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제가 보기에 삼성전자는 거의 끝난 종목 같습니다. 에이 설마, 부자가 망해도 3대는 간다고 하는데 삼성전자가 끝났다니요??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제가 보기에는 호재보다는 악재가 더 많습니다. 가장 큰 것이 스마트폰 판매량의 축소입니다. 여러 자료들을 보면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은 11억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8년 15.6억대였는데, 그에 비해 무려 30% 이상 빠진 수치입니다. 즉, 스마트폰 판매에서는 기대할 게 없다는 거죠. 게다가 젊은 소비자들은 애플 아이폰으로 넘어가고 있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NzzVc/btsqY086I3w/cur2GRJ3xwPITURT8sSovk/img.jpg)
그동안 네이버, 아모래퍼시픽, LG생활건강, 로봇 관련주, 한샘 같은 종목들을 추천했고, 대부분 추천 시점 대비 20% 이상 올랐습니다. 로봇 관련주의 경우 장기적으로 봐야 하기 때문에 적당히 오르면 팔고 다시 담고를 반복해야 할 것 같구요, 나머지 종목들은 당분간 홀딩하는 것이 유효할 것 같습니다. 특히 네이버의 경우 8월 24일 하이퍼 클로바 X 발표가 있을 예정인데요, 보통 당일날 소재가 소멸되기 때문에 빠지니까 적절히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그 전에 충분히 올라간다면 발표일 1-2일 전부터 조정이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화장품 관련주는 중국이 해외 단체 여행을 허용했기 때문에 기대해도 좋습니다. 중국 사람들 어디든 가겠지만, 8월말 일본이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을 하게 되면 국내 쪽으로 분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SmA7/btsqJf5Qt4w/pMfIFGHM0kAr5IK4yJaHtk/img.jpg)
엇그제(8월 8일) 비상경제장관회의라는 데에서 "지능형 홈(AI@Home) 구축 확산 방안"에 대한 발표가 있었나 봅니다. 덕분에 어제(8월 9일) 코맥스는 장중 상한가에 도달하기도 했더군요. 하지만, 결국 코맥스는 12.3%, 코콤은 10.5% 상승을 하는데 그쳤습니다. 긴 윗꼬리를 만들고 끝난 거죠. 물량 털이를 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주식 게시판을 보니 기대를 품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그런데 꿈 깨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코맥스와 코콤은 이제 사실상 끝난 기업들입니다. 그동안 건설 경기가 좋아서 디폴트로 팔려나가는 월패드 때문에 돈을 벌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상황이 달라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바로 매터라는 표준 때문입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매터 표준이 도입되면 앞..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JM4T/btsqs8kMmSf/KoXj9HjRE8WXl6bvYis8S0/img.jpg)
지난 주말에 글을 쓸까 하다 다른 일 하는 바람에 못 썼는데요, 한샘이 드디어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오늘은 3시 현재 약 10% 정도 상승한 상태인데요, 거래량이 동반되서 향후가 기대됩니다. 이 그래프는 한샘의 일봉인데요, 보시는 것처럼 오늘 거래량 실리며 10%대의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저는 7월 중순경 5일 이평이 20일 이평을 돌파하는 시점에 매수를 해놓았는데요, 이후 금방 강한 상승세가 나와서 더 추매를 못해 아쉬웠었습니다. 그런데 3일 연짱으로 하락을 해서 이 때 추매를 좀 해 놓았습니다. 이 그래프는 한샘 주봉입니다. 오늘 많이 올랐지만, 주봉으로는 이제 시작입니다. 지난주에 주봉상으로 5주 이평이 20주 이평을 돌파해서 추가 상승이 기대되는 시점이었구요 오늘 고점 위치가 전고점 수준과 비..
7월 19일 글에서 로봇 관련주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썼습니다. https://weshare.tistory.com/34 로봇 관련주가 슬슬 움직이는 거 같네요. 로보스타, 로보티즈 약간 매수해 놨는데 강하게 상승하고 조정받고 오늘 다시 강하게 상승하네요. 반면 스맥과 유진로봇은 힘이 약해 보입니다. 분할 매수 들어가도 좋을 자리 같아요. weshare.tistory.com 그 이후에 약간 더 조정을 받더니, 지난 금요일 강한 상승에 이어 오늘도 나름 강하게 움직이네요. 오늘은 유진로봇이 대장입니다. (추가: 저는 상한가에 모두 매도했습니다. 수익률 52%입니다.) 저는 로보스타와 로보티즈 비중이 커서 지난 금요일에는 좋았는데, 오늘은 다소 아쉽지만 계속 순환하면서 로봇주들이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mLDu/btspUnp6iij/nFKSiMHDct9OGAFnFHKR8k/img.jpg)
이전에 LG생활건강과 아모레퍼시픽을 함께 소개하면서 아모레가 더 낫고 LG생건은 좀 기다려야 할 것 같다고 했습니다. 아직도 상승세를 이야기하기에는 이른 상황입니다만, 슬슬 관심을 가지기 시작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위 차트는 LG생건 일봉인데요, 오늘 비교적 강한 상승세를 보이며 20일 이평을 돌파했습니다. 아직 5일 이평이 20일 이평을 상향돌파하지 않았지만, 요즘 분위기가 월요일이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물론 대외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별 일 없는 한 상승세로 방향을 틀 것 같습니다. 위 차트는 LG생건 주봉입니다. 아직은 바닥 확인이 안 되었고 위에 20주, 60주 이평선이 하락세입니다. 따라서 상승을 하더라도 한번 부딪히고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슬슬 모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U9ll1/btspNPF54b3/IUcYMLVYXarS3ckEkeqp3k/img.jpg)
어제(8/1) 네이버의 실적 발표로 인해 카카오 및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도 간만에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하루 만에 하락 반전하고 말았습니다. 전체적으로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것도 있지만, 카카오 계열은 카카오페이의 실적이 시장 기대에 못 미치며 하락을 주도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지금(오전 11:40) 현재, 카카오는 -3.1%, 카카오페이는 -6.8%, 카카오뱅크는 -3.5% 정도 빠진 상태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카카오페이와 카카오뱅크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고, 카카오뱅크는 플러스, 카카오페이는 마이너스입니다. 오늘 빠지길래 추매를 하려고 이것저것 보니 페이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반면 뱅크는 유효할 것 같습니다. 이 차트는 카카오뱅크의 일봉입니다. 어제 14% 오르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V95h/btspBzXfIQD/qqa1QCkrKGQ6X7XHFKxco1/img.jpg)
뭐 거의 한달 전부터 네이버 주식 사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저의 경우 18만원대 초반에 대량 매수해서 평단가 18,7000원 정도 됩니다. 현재 기준 17.59% 수익입니다. 8월 4일 행사에서 하이퍼 클로바 X에 대한 다양한 소식들이 쏟아져 나올 것입니다. 그럼, 지금보다도 10% 정도는 더 갈 수 있으리라 봅니다. 아래는 6월 30일에 쓴 글입니다. https://weshare.tistory.com/11 이제는 네이버 주식을 사야 할 때다! 2023년 상반기 마지막 날이다. 아직 장이 끝나지 않았지만, 2023년 상반기 수익률은 28%다. 자주 거래를 하는 편이 아니지만, 뭐 때문에 이렇게 수익이 높은지는 잘 모르겠다. 아마도 베트남과 배터 weshare.tistory.com 아래 그래프는 주봉입니다...